IF절 한방에 정리하기 (feat. 가정법)

2024. 11. 8. 09:28영어문법

반응형

IF절 한방에 정리하기 (feat. 가정법)

들어가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만약...~라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IF절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IF절 시제 관련해서 헷갈린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제와 관련된 IF절의 유형, 그리고 목적 및 용도를 살펴보려 합니다. 

 

IF절은 시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 IF절 유형이 사용되는 상황과 그 목적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그럼 먼저, 네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까요.

 

IF절 유형

1. 조건문 (Zero Conditional): 보편적인 진리, 과학적 사실, 일반적인 사실을 서술할 때 사용됩니다.

IF절 주절
If + 주어 + 현재시제 동사, 주어 + 현재시제 동사
If you heat water to 100°C,물을 100도까지 가열하면, it boils
끓습니다.
이 문장은 보편적인 진리, 그러니까 물은 100°C가 되면 항상 끓는다,는 사실을 서술하기 때문에 조건문(zero conditional)이 사용되었습니다



2. 첫 번째 조건문 (First Conditional):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이나 예상되는 결과를 서술할 때 사용됩니다.

IF절 주절
If + 주어 + 현재시제 동사, 주어 + will/can/may+ 동사 원형
If it rains tomorrow, 
내일 비가 온다면, 
will stay home. 
나는 집에 있을 것이다.
위 문장에서는 미래에 비 오는 상황을 가정하고, 그럴 경우 집에 있을 계획임을 보여줍니다. IF절에 현재 시제를 사용해 미래 상황을 나타내고, 주절에서는 will을 사용해 미래에 할 행동을 나타냈습니다.

 


3. 두 번째 조건문 (Second Conditional):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능성이 낮거나 비현실적인 가정 또는 상상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IF절 주절
If + 주어 + 과거시제 동사, 주어 + would/could/might+ 동사 원형
If I had a million dollars,
내가 만약 백만 달러가 있다면,
would travel the world.
전 세계를 여행할 것이다.
현재 백만 달러가 없고, 현실적으로 백만 달러을 가질 가능성이 낮지만 상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IF절에 과거 시제를 사용해 가정을 하고, 주절에서는 would를 사용해 그런 상황이 생긴다면 자신이 할 가상의 행동을 나타냈습니다.

 


4. 세 번째 조건문 (Third Conditional): 과거의 사실과는 다른 가정을 하거나, 과거에 일어나지 않은 일의 결과를 상상할 때 사용합니다.

IF절 주절
If + 주어 + had+ 동사의 과거분사, 주어 + would/could/might+ have + 동사의 과거분사
If I had studied harder,
내가 더 열심히 공부했다면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시험에 합격했을 텐데
과거를 회상하며 과거에 더 열심히 공부했다는 사실을 가정하고 현재와 반대로 시험에 합격했을 가능성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IF절에 과거 완료 시제를, 주절에 would have구문을 사용해 현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상상하는데 주로 쓰입니다. 

 

IF절의 목적과 용도

그럼 IF절을 사용하는 목적과 그 용도가 궁금할 수 있습니다. 크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1. 조건: 특정 조건을 제시하여, 해당 조건이 성립되면, 주절이 결과로 따른다는 얘기를 할 때 사용됨

  • If it rains, I will bring an umbrella. (비가 오면 우산을 가져갈 것이다.)
    (조건절) + (조건 성립시 결과) <- 보편적인 진리, 과학적 사실, 일반적인 사실

  • If he arrives on time, we can start the meeting at 9 a.m. (그가 제시간에 도착하면, 오전 9시에 회의를 시작할 수 있다.)
    (조건절) + (조건 성립시 결과) <-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이나 예상되는 결과

2. 상상/가상:  현재 일어나지 않았고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그런 상황을 상상 또는 가정할 때 사용됨.

  • If I were you, I would take the opportunity. (내가 너라면, 그 기회를 잡을 것이다.)
    (가정절) + (가정이 실현되었을 때 할 가상 행동) <- 비현실적인 가정 또는 상상 그리고 과거의 사실과는 다른 가정 

 

그럼 네 가지 조건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요약

목적 if절 구조 주절 구조 용도
조건이 성립된다면... If + 주어 + 현재시제 동사, 주어 + 현재시제 동사 보편적인 진리, 과학적 사실, 일반적인 사실을 서술할 때 사용됩니다.
조건이 성립된다면... If + 주어 + 현재시제 동사, 주어 + will/can/may+ 동사 원형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이나 예상되는 결과를 서술할 때 사용됩니다.
비현실적인데 상상해 본다면... If + 주어 + 과거시제 동사, 주어 + would/could/might+ 동사 원형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능성이 낮거나 비현실적인 가정 또는 상상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과거로 돌아간다면, 다르게 해 본다면... If + 주어 + had+ 동사의 과거분사, 주어 + would/could/might+ have + 동사의 과거분사 과거의 사실과는 다른 가정을 하거나, 과거에 일어나지 않은 일의 결과를 상상할 때 사용합니다.

 

마무리...

이제 어떤 IF절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감이 왔나요? "어떤 조건이 성립되면... 이렇게 될 거야 아님 이렇게 할 거야"의 의미로 말하고자 한다면 zero conditional과 first conditional을 사용하면 되고요. "비현실적이긴 한데 상상해 보면 이런 가상행동을 할 거야" 또는 "과거로 돌아가서 다르게 행동한다면, 이렇게 됐겠지"라고 말하고 싶다면, third conditional 또는 fourth conditional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내가 로또에 당첨된다면, 강남에 집을 살 거야"는 어떤 조건문을 사용해야 할까요? 로또 당첨률을 생각하면 비현실적이라 third conditional인 "if+주어+ 과거시제 동사, 주어 would/could/might+동사원형"을 쓰면 됩니다. 그럼 문장을 함 만들어 볼까요?

  •  If I won a lottery, I would buy a house in Gangnam.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