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 vs. to부정사 차이 한방에 정리

2024. 11. 29. 10:14어떤 걸 써야 할까?

반응형

동명사 vs. to부정사 차이 한방에 정리

 

들어가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명사와 to부정사의 용법과 차이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먼저 용어를 정리를 하고 들어가는 게 필요해 보입니다. 학교에서 "동명사" 그리고 "to부정사"라는 문법 용어만 많이 들어 알고 있지만 정작 정확한 뜻을 모르는 사람들이 정말 많습니다. 

  • 동명사: 동사와 명사의 기능을 겸한 품사 그러니까 동사의 명사형. 
  • to부정사: 인칭, 수, 시제에 제약을 받지 않는 동사형

다시 말해, 동명사는 동사를 명사형으로 만든 품사이고 to부정사는 동사인데 앞에 to가 들어가서 1인칭이든, 2인칭이든, 3인칭이든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쓰인다는 말입니다. 

 

영어 문법에서 동명사와 to부정사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달리 사용됩니다. 동명사와 to부정사의 용법과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동명사

동명사는 동사+ing 형태로 되어 있어 동사의 움직임 또는 지속성을 표현하는 명사 역할로 주로 쓰입니다. 문장에서 명사 역할을 하면서 문장의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주어: Swimming is a good exercise. (수영하는 것은 좋은 운동이야.)
    cf.) Swim is a good exercise.(수영은 좋은 운동이야.)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수영하는 행동의 움직임에 강조를 한 것

  • 목적어:  I enjoy playing the guitar. (나는 기타 치는 것을 즐긴다.)
    (중요!!) 동명사를 주로 목적어로 쓰는 동사가 있으니 꼭 알아두세요!
    (enjoy, suggest, avoid, admit, mind, finish, quit, keep, deny, imagine, consider, practice)

  • 보어: Her favorite activity is painting.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활동은 그림 그리기이다.)

  • 전치사의 목적어: She is interested in learning French. (그녀는 프랑스어 배우는 것에 관심이 있다.)
    (중요!!) 전치사 뒤에는 to부정사를 사용할 수 없어 동사형태의 명사를 사용할 경우 꼭!! 동명사를 써야 합니다.

  • 관용적 표현에 사용되는 동명사:
    cannot help + 동명사: ~할 수밖에 없다
    (예시) I can't help laughing when I watch this movie. (이 영화를 볼 때 웃지 않을 수가 없다.)

    be worth + 동명사: ~할 가치가 있다
    (예시) This book is worth reading. (이 책은 읽을 가치가 있다.)

 

그럼 이제 to부정사 용법으로 넘어갈까요. 

 

to부정사

to부정사는 to+동사 형태로 되어있어 곧 일어날 행동 또는 목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동명사와 동일하게 문장의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 주어: To learn a new language is challenging. (새로운 언어를 배우려 하는 것은 어렵다.)
    c.f) Learning a new language is challenging.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은 어렵다.) 동명사와는 달리 배우고 있는 행위의 연속성이나 지속성보다는 미래에 하고자 하는 행위/목적, 즉 배우려 하는 행위/목적을 의미합니다. 

  • 목적어: She decided to leave. (그녀는 떠나기로 결심했다.)
    (중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주로 사용하는 동사가 있으니 꼭 알아두세요.
    (decide, hope, plan, want, need, promise, agree, refuse, learn, offer, fail)

  • 보어: My goal is to become a teacher. (내 목표는 교사가 되는 것이다.)

  • 형용사 수식: She is ready to start the job. (그녀는 일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

  • 부사: She went to the library to study. (그녀는 공부하러 도서관에 갔다.)

  • 관용적 표현에 사용된 to부정사: 
    too 형용사 to 동사: 너무 ~해서 … 할 수 없다
    (예시) The coffee is too hot to drink. (커피가 너무 뜨거워서 마실 수 없다.)

    enough to 동사: ~할 만큼 충분히 … 하다
    She is old enough to drive. (그녀는 운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나이가 찼다.)

 

동명사와 to부정사의 차이

동명사와 to부정사의 차이를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1. 의미적 차이
    forget + 동명사: ~한 것을 잊다 (과거 사건)
    (예시) I forgot locking the door. (문을 잠근 것을 잊었다.)

    forget + to부정사: ~할 것을 잊다 (미래 사건)
        - 예: I forgot to lock the door. (문 잠가야 하는 것을 잊었다.)
  2. 지속성 차이
    remember + 동명사: ~했던 것을 기억하다
    (예시) I remember calling her last night. (어젯밤에 그녀에게 전화했던 것을 기억한다.)

    remember + to부정사: ~할 것을 기억하다
    (예시) Remember to call me. (전화하는 것 기억해라.)
  3. to부정사 또는 동명사를 주로 목적어로 삼는 동사에 따라 생기는 뉘앙스
    try + 동명사: ~시도해 보다
    (예시) I tried calling him. (나는 그에게 전화 시도해 봤어.)

    try + to부정사: ~노력하다
    (예시) I tried to call him. (그에게 연락하려고 노력했어.)

 

마무리...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용법 차이가 약간 감이 왔나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뉘앙스적으로 헷갈릴 수 있는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삼는 동사의 to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