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자주 헷갈리는 영어 단어 TOP 10

2024. 11. 10. 13:10어떤 걸 써야 할까?

반응형

한국인이 자주 헷갈리는 영어 단어 TOP 10

 

들어가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인이 자주 혼동하는 영어단어를 모아봤습니다. 아래 영어 단어들은 주로 발음이 비슷하거나 뜻이 혼동되는 단어로 영어공부를 할 때 한국인들이 특히 헷갈려하는 상위 10개의 영어 단어입니다.

 

Top10 

1. Advice vs. Advise
: Advice는 조언을 뜻하는 명사이고, Advise는 조언하다는 동사입니다. 발음도 조금 차이가 있는데, Advice는 "스" 소리로, Advise는 "즈" 소리로 끝납니다.

 

예시

  • She gave me excellent advice on how to improve my presentation skills. (그녀는 나의 발표 능력을 개선시킬 좋은 조언을 해주었다.)
  • They advise taking an umbrella because it might rain. (비가 올 수 있어 그들은 우산을 가져갈 것을 조언하였다.)


2. Borrow vs. Lend
: Borrow는 빌리다는 뜻으로 자신이 빌리는 경우에 쓰이고, Lend는 빌려주다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빌려주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 She asked to borrow my car for the weekend. (그녀는 주말에 내 차를 빌려가도 되는지 물었다.)
  • I’ll lend you my book if you promise to return it next week. (나는 네가 다음 주에 돌려준다고 약속하면 내 책을 빌려줄 것이다.)

 

3. Bring vs. Take
: Bring은 가져오다로 상대방에게 가져가는 상황을 뜻하고, Take는 가져가다로 나에게서 멀어지는 상황을 뜻합니다.

 

예시

  • Could you bring your laptop to the meeting tomorrow? (네 노트북을 내일 회의에 가져올 수 있어?)
  • Don’t forget to take an umbrella with you when you leave. (갈 때 우산 가져가는 거 잊지 마.)

 

4. Compliment vs. Complement
: Compliment는 칭찬을 의미하고, Complement는 보완하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예시

  • He complimented her on her excellent work. (그는 그녀의 훌륭한 업무를 칭찬했다.)
  • The red wine is a perfect complement to the steak. (레드와인은 스테이크와 찰떡궁합이다.)

 

5. Emigrate vs. Immigrate
 : Emigrate는 이주하다는 의미로 고국을 떠나는 경우에 쓰이고, Immigrate는 이민 오다로 새로운 나라에 정착할 때 쓰입니다.

 

예시

  • Her family decided to emigrate from Germany in the 1950s. (그녀의 가족은 1950년대에 독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었다.)
  • Many people immigrate to Australia for better job prospects.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취업을 위해 호주로 이민을 간다.)


6. Farther vs. Further
: Farther는 물리적인 거리를 나타내고, Further는 정도나 수준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개념에 사용됩니다.

 

예시

  • The gas station is farther down the road. (주유소는 이 도로로 좀 더 가야 있다.)
  •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customer service. (더 많은 정보를 위해 고객 서비스로 연락하세요.)

 

7. Lay vs. Lie
: Lay는 놓다는 타동사로 목적어가 필요하고, Lie는 눕다는 자동사로 목적어 없이 사용됩니다.

 

예시

  • Please lay the book on the table. (테이블 위에 책을 놓으세요.)
  • I need to lie down for a while. (난 잠시 누어야 할 것 같아.)


8. Lose vs. Loose
: Lose는 잃다는 동사이고, Loose는 느슨한이라는 형용사입니다. Lose는 "즈"라는 소리로 발음되고, Loose는 "스"라는 소리로 발음됩니다.  

 

예시

  • I don’t want to lose my keys again. (열쇠를 다시 잃어버리고 싶지 않아.)
  • The screws are too loose, so the shelf might fall. (스크루가 너무 느슨해서 선반이 떨어질 수 있다.)


9. Rise vs. Raise
: Rise는 오르다라는 자동사이고, Raise는 올리다는 타동사로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예시

  •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떠오른다.)
  • They raised the prices again. (그들은 가격을 또 올렸다.)

 

10. use vs. usage  
: Use는 사용하다는 동사이면서 사용이라는 명사로도 쓰입니다. 반면 Usage는 사용법, 용법에 더 가깝습니다. 

 

예시

  • I use this software for editing videos. (저는 이 소프트웨어를 비디오 편집에 사용합니다.)
  • This dictionary explains the usage of each word. (이 사전은 각 단어의 용법을 설명합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들이 자주 헷갈릴 수 있는 단어 10개를 살펴보았습니다. 한국어에서도 결제 vs. 결제 같은 유사한 단어가 헷갈릴 때가 있잖아요. 영어에서도 비슷한 스펠링 또는 발음으로 인해 헷갈리는 단어를 가끔 만날 때가 있는데요. 그때마다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면 다음에는 확실히 다름을 알 수 있더라고요. 

 

그럼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