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3. 11:07ㆍ영어 표현
들어가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인들이 많이 쓰는 한국어 표현 중 하나인 "괜찮아", "괜찮아요"를 어떻게 영어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다뤄보고자 합니다.
한국인이 한국어로 "괜찮아" 또는 "괜찮아요"를 말할 때는 상황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집니다. 그래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괜찮아", "괜찮아요"를 영어로 적절하게 표현하려면 상황에 맞는 뉘앙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 상황을 보면서 어떤 영어 표현을 써야 내가 원하는 "괜찮아" 또는 "괜찮아요"가 되는지 같이 살펴봅시다.
상황별
1. 상대방의 안부를 묻거나 위로할 때
의미: "너 괜찮아?", "잘 지내?"
- Are you okay?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상대방의 상태를 묻는 표현)
- Are you alright? (좀 더 부드럽고 친근한 표현)
- Is everything okay? (상황 전반에 대해 괜찮은지 확인할 때 쓰는 표현)
2. 스스로의 상태를 표현할 때
의미: "난 괜찮아."
- I’m okay.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표현)
- I’m fine. (약간 더 형식적이고 정중한 느낌)
- I’m all right.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표현)
- I’m good. (일상에서 캐주얼하게 쓰는 표현)
- No worries. ("걱정하지 마, 나 괜찮아"라는 의미)
3. 사양하거나 양보할 때**
의미: "괜찮아요, 됐어요."
- No, thank you. (정중하게 사양하는 표현)
- I’m good, thanks. (더 캐주얼하게 사양할 때 사용)
- That’s okay. (상대방의 호의를 완곡히 거절하거나 감사하며 거절할 때 적합)
- I’m fine, but thanks for offering. (정중한 거절을 강조할 때).
4. 문제가 없음을 표현할 때
의미: "괜찮아요. (문제없어요)"
- It’s okay. (가장 일반적인 표현으로 상황이 괜찮음을 나타냄)
- That’s fine. ("문제없어요"라는 의미로 약간 더 강한 확신을 줄 수 있음)
- No problem. (특히 실수나 작은 문제가 있었을 때 관대하게 반응하는 표현)
- Don’t worry about it. (상대방이 실수를 했을 때 위로하며 괜찮다고 할 때 씀)
- All good. (매우 캐주얼한 표현으로 "다 괜찮아"라는 뉘앙스를 가짐)
5. 허락하거나 동의할 때
의미: "그래, 괜찮아."
- That’s okay. (상대방의 행동을 허락할 때 사용)
- Sure, that’s fine. (동의의 의미를 부드럽게 표현)
- Go ahead. (행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허락을 줄 때 사용)
- No worries, it’s fine. (좀 더 친근하고 긍정적인 느낌을 전달)
6. 감정을 숨기거나 겸손하게 반응할 때
의미: "(사실 괜찮지 않지만) 괜찮아요."
- I’m fine, really. (실제로는 괜찮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억지로 괜찮음을 표시할 때)
- It’s nothing, really. (상대방이 미안해하거나 걱정할 때 경감시키려는 표현)
- I’ll be okay. (현재 힘들지만 곧 괜찮아질 거라는 긍정적인 의미)
- Don’t worry, I’ll manage. (자존감을 지키면서 괜찮다고 말할 때 사용)
마무리...
다양한 상황에서 쓰이는 "괜찮아"는 뉘앙스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의도에 따라 위에 설명한 적절한 영어 표현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