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7)
-
(미국 자동차 영어 표현) voluntary surrender
들어가면서... "voluntary surrender"이란 용어를 들었을 때, 무슨 생각이 먼저 나나요? 의미 영어로 "voluntary"는 "자발적"이라는 뜻이고 "surrender"은 "포기"라는 뜻이니까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자발적 포기"인데요. 차량을 다년간 할부로 사는 미국에서 할부로 산 차량을 중도에 반납하려고 자동차 파이낸싱 회사 또는 금융기관에 연락하는 것을 "voluntary surrender"이라고 하죠. 한국어로는 "중도 계약 파기" 정도로 번역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용되는 배경 "voluntary surrender"를 선택하는 경우는 소유 차량에 대한 대금을 납부하지 못할 상황이라 차량을 압류(repossession) 당하는 것보다 차라리 포기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
2023.01.27 -
(미국 은어) Kapeesh?!
들어가면서... Kapeesh, capeesh 또는 capiche라고 표기되는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capisci)에서 유래하여 폭력조직 또는 다른 불법 조직에 몸담았던 이탈리안 미국인들이 즐겨 사용하여 "알아 들었어!?"라고 고압적이고 위협적으로 물을 때 사용되곤 했다고 합니다. 의미 kapeesh / capeesh /capiche는 "알아 들었어?!/ 알았어?! /이해했어?!"등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거친 분들이 많이 사용해서 위협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고 했으나 지금은 장난스럽게 말할 때도 종종 사용되곤 합니다. 장난스럽게 사용될 때는 "내가 무슨 말 하려는지 이해했지"라는 뜻을 내포합니다. 예시 Kerry: Get it done by tonight, kapeesh?! 오늘 밤까지 끝내,..
2023.01.27 -
(미국 금융 표현) Bring the account current
들어가면서... 미국 신용카드 회사, 대출기관, 자동차 리스 회사에서 "I'm calling to know when you will be able to bring your account current"라고 물어보며 전화가 올 수 있는데요. 이때...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계좌를 현재로 만들 수 있는지 알고 싶다? 이게 뭔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야?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의미 사실 내야 할 대출 원리금 또는 할부금이 연체되어 연락한 거라, "언제쯤 연체된 금액을 내실 수 있을까요?"쯤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bring the account current"는 "연체 금액을 내다"라는 뜻이죠. 남은 연체금액을 내면 원리금 또는 할부금 잔고 그러니까 관련 계좌 balance가 "0"로 ..
2023.01.26 -
(매일 쓰는 회의 영어) 유용한 표현
들어가면서...외국계 회사에 다니면 본사 또는 다른 지역 사무소와 가끔 영어로 회의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때 쓸 수 있는 유용한 표현 몇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첫인사본인이 소집한 회의일 경우, 참석해 줘서 고맙다는 얘기로 시작하거나, "먼저 회의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First, thank you all for coming.""먼저 회의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First, I'd like to welcome everyone to the meeting."아님, 참석자가 다 왔으니 바로 회의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합니다. "모두가 모였으니,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Since everyone is here, let's get started/kick it off. 2. 회의 ..
2023.01.26 -
Say vs. Tell 중 뭘 써야 할까?
영어를 할 때 "say"를 쓰는 게 맞는지 아님 "tell"을 쓰는 게 맞는지 헷갈릴지만 그 순간에 바로 생각나는 걸로 그냥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어로 "말하다"인 "say"와 "tell" 용법 차이를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say"와 "tell"은 둘 다 동사로 한국어로 "말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문법을 배울 때 타동사 그리고 자동사로 많이 외웠을 텐데요. "say"는 타동사이고 "tell"은 자동사죠. 그럼 이 둘의 차이는 뭘까요? 첫째, 직접/간접화법, 그러니까 남의 말을 인용할 때 "say"는 직접 화법을 쓰는 반면 "tell"은 간접 화법을 씁니다. 예를 들어, She said, "I don't know". "난 몰라"라고 그녀는 말했다. She told me s..
2023.01.25 -
Shall vs. Will 중 뭘 써야 할까?
미래 시제 관련해서 언제 "shall"를 써야 할지 그리고 언제 "will"을 써야 할지 헷갈릴 수 있는데요. 오늘은 "shall"과 "will"의 용법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첫째 미래를 나타날 때, "shall"은 1인칭일 때만 사용됩니다. 그러니까 "I" 나 "we" 뒤에는 올 수 있어도 2인칭인 "you" 또는 3인칭 단수(it, she, he) 및 복수(they) 뒤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I/we shall do it"으로는 쓸 수 있어도 "you/he/she/it/they shall do it"으로는 쓸 수 없다는 말이죠. 또한 "shall"를 1인칭에 사용할 때는 격식을 차리거나 고전적인 느낌이 납니다. 영국 드라마 중 빅토리아나 오만과 편견과 같은 데서 등장하곤 하죠..
202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