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속담_격언_명언(23)
-
(영어속담) If you can't stand/take the heat, get out of the kitchen.
들어가면서... 최근에 친구를 만났는데 직장 관련 푸념을 하면서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라면 말하더라고요. 그 친구 얘기를 들으면서 정말 개인이 조직을 바꾸긴 힘든 건가 하는 생각에 조금 서글퍼지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 표현으로는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와 비슷한 영어표현을 살펴보려 합니다. 뭐 제목에 이미 나와 있듯 "if you cannot stand the heat, get out of the kitchen."인데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열기를 못 견디겠으면 부엌에서 나가라라는 뜻입니다. 한국 표현에서의 절간과 스님이 영어 표현에서는 부엌과 요리사로 바뀝니다. 이 표현은 1945년부터 1953까지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해리 트루먼이 사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고 합니다..
2023.03.23 -
(영어 속담)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
들어가면서... 어제 회사에서 친한 동료가 영어로 쓴 메일을 좀 감수해 달라고 해서 보면서 여긴 정관사를 안 써도 될 것 같아요라고 했더니 "of"를 썼으니까 "the"를 무조건 써야 하는 거 아니냐며 묻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그런 규칙은 어디에 있어요라고 했더니 누가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of" 앞에는 무조건 "the"를 써야 한다고 가르쳐줬다고 하더군요. 순간 선무당이 사람 잡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이란 표현을 다뤄볼까 합니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은 대충 아는 건 위험하다인 데요. 비슷한 한국어 속담으로는 "선무당이 사..
2023.03.14 -
(영어 속담) The squeaky wheel gets the grease.
들어가면서... 요즘 회사의 업무 평가 시즌이라 그런지 몰라도 이 속담이 생각이 나더라고요. "The squeaky wheel gets the grease."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삐걱대는 소리를 내는 바퀴가 기름칠을 받는다"인데요. 시끄럽게 굴수록 관심을 받는다라는 의미를 가진 미국 속담으로 한국어 속담으로는 아마도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 "우는 아이 젖 준다" 또는 "보채는 아이 젖 준다"와 가장 유사할 것 같네요. 이 속담의 가장 잘 알려진 유래는 미국의 유머작가인 조쉬 빌링스가 1870년에 쓴 더 킥커(the kicker)에서 처음 사용해서라고 합니다.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The Kicker [여기서 kicker는 반전이란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I hate to be ..
2023.03.07 -
(영어 속담)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들어가면서... 요즘 길거리를 지나다 보면 비둘기 떼가 무리로 움직이는 걸 가끔 목격하는데요. 신기하게도 까마귀나 다른 새들이 그 무리에 끼여있는 경우는 거의 없더군요.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이란 속담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같은 깃털의 새들은 떼지어 다닌다"로 사자성어로는 유유상종, 다른 말로는 끼리끼리 논다와 같은 뜻을 가집니다. 표현의 유래 관련해서 썰이 여럿있지만 그냥 같은 종류의 새들이 어울려 다니는 자연 현상을 사람들의 행동에 빗대어 표현하면서 속담으로 자리 잡지 않았나 조심스레 생각해 봅니다. 각설하고 그러니까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는 한국어로 유유상종 또는 끼리끼리 논다 정도로 해석하면 됩니다. 달리 말하면..
2023.03.03 -
(영어 속담) The apple doesn't fall far from the tree.
들어가면서... 학교성적이 우수했던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공부를 잘하거나 또는 부모가 가수인 아이가 노래경연대회에서 우승을 하면 "DNA 어디 안 간다", "피는 못 속여" 아님 "부전자전이네"라는 말을 하잖아요. 영어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는데요. 한국어 표현에서는 피 또는 유전자를 들며 부모와 자식의 유사성 또는 동질성을 말한다며 영어에서는 나무와 열매에 빗대어 표현하는데요. "The apple doesn't fall far from the tree."는 문자 그대로 해석을 하면 "사과나무에서 사과는 멀리 떨어지지 않는다"인데요. 여기서 사과나무는 부모이고 사과 그러니까 열매는 자식이죠. 즉 자식은 부모에게서 멀리 떨어질 수 없다. 다시 말해 닮을 수밖에 없다는 소리죠. 이 표현의 유래는 독일어에서..
2023.02.21 -
(영어 속담) You can't teach an old dog new tricks.
들어가며… 나이를 한 살씩 더 먹으면서 느끼는데요. 어떤 습관이든, 좋든 나쁘든, 오랫동안 지속되어 깊게 자리 잡은 습관은 버리기 정말 어렵고 타고난 성격도 다시 태어나지 않는 이상 바꾸기 불가합니다. 한국어로는 “사람은 고쳐 쓰는 게 아니야”가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의미 “You can’t teach an old dog new tricks”를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노견에게 새로운 묘기를 가르칠 수 없다”인 데요. 그러니까 특히 연세가 좀 있고 자기주관이 강한 사람에게 신기술과 새로운 행동 방식을 가르치기 어렵다는 거죠. 예시 I tried to teach my mom how to use a computer, but she says you can’t teach an old..
20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