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42)
-
IF절 한방에 정리하기 (feat. 가정법)
들어가면서...이번 포스팅에서는 만약...~라면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IF절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IF절 시제 관련해서 헷갈린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제와 관련된 IF절의 유형, 그리고 목적 및 용도를 살펴보려 합니다. IF절은 시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 IF절 유형이 사용되는 상황과 그 목적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그럼 먼저, 네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까요. IF절 유형1. 조건문 (Zero Conditional): 보편적인 진리, 과학적 사실, 일반적인 사실을 서술할 때 사용됩니다.IF절주절If + 주어 + 현재시제 동사,주어 + 현재시제 동사If you heat water to 100°C,물을 100도까지 가열하면,it boils. 끓습니다.이 문장은..
2024.11.08 -
조동사 목적 및 용법, 미묘한 뉘앙스 차이 정리
들어가면서...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동사(auxiliary verb)를 다뤄 볼까 합니다. 조동사는 동사와 못지않게 문장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먼저 조동사의 의미를 알아볼까요? 한국어 사전에서는 조동사를 "본동사와 연결되어 그 풀이를 보조하는 동사"라고 정의합니다. 그러니까 조동사는 반드시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며, 문장 내 역할은 본동사를 보완하는 역할인 겁니다. 조동사는 주로 가능성, 능력, 의무, 요청, 추측 등으로 표현되며, 본동사의 의미를 보조합니다. 그럼 조동사의 역할, 목적 그리고 구조를 정리해 볼까요? 역할: 조동사는 본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본동사의 의미를 강화하거나 보조하는데, 예를 들어, 본동사의 가능성 또는 의무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목적: 본동사만..
2024.11.07 -
명사 단복수 한방에 정리
들어가면서...이번 포스팅에서 영어 명사의 단복수 형태를 한방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한국어로는 명사에 간단하게 "~들"을 붙여 단수를 복수로 만들 수 있는데요. 그러나 영어에서 명확한 규칙에 따라 단수와 복수 형태로 나뉩니다. 먼저 단수 명사는 하나의 사물, 사람 또는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되고, 복수 명사는 두 개 이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명사의 복수형을 만들 때는 명사 뒤에 "~s"를 붙이는데요. 명사가 어떻게 끝나느냐에 따라 "~s", "~es", "~ies" 또는 "~ves" 등 변칙이 존재합니다. 또한 단복수가 없거나 아예 다른 복수 형태가 존재하는 명사도 있기 때문에, 단수 명사를 복수 명사로 바꿀 때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영어로 명사를 복수 형태..
2024.10.24 -
능동태 vs. 수동태 한방에 정리
들어가면서...영어의 능동태(active voice)와 수동태(passive voice)를 쓰는 걸 어려워하거나 헷갈려하시는 분이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 능동태와 수동태의 구조적 그리고 의미적 차이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사실 언어에서 능동태와 수동태가 존재하는 이유는 주어와 동사의 관계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요. 능동태: 주어가 동사를 수행할 때수동태: 주어가 동사를 당할 때지난 포스팅에서 타동사와 자동사를 다뤘는데요. 타동사는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를 항상 동반하지만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동사라고 설명드렸는데요. 그럼 수동태가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에 사용될 수 있을까요? 원칙상 자동사는 수동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물론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렸지만 몇몇 자동사도 되고..
2024.10.16 -
자동사 vs. 타동사 한방에 정리
들어가면서...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의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한국인이 영어를 하는 걸 자세히 들어보면 목적어가 필요한데 없거나 목적어가 없어도 되는 데 있거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자동사와 타동사의 용법, 자주 헷갈리는 자동사와 타동사 5개, 그리고 자동사와 타동사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사에는 어떤 게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사 vs. 타동사자동사 (Intransitive Verb): 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입니다. 즉,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문장이 가능합니다. 구조: 주어 + 동사.예) I + go.타동사 (Transitive Verb):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동사 뒤에 반드시 목적어가 와야 문장이 완성됩니다..
2024.10.15 -
한방에 정리하는 AS용법
들어가며..."AS"는 영어에서 매우 다재다능한 단어로 다양한 문법적 용법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AS”의 주요 문법적 용법을 살펴보고, 예시를 통해 "AS"를 어떻게 잘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AS"는 크게 3가지 용법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1. 부사동등비교: “AS”는 두 가지를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이 경우, “as 형용사/부사 as” 구조를 통해 두 대상을 동등하게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She is as tall as her brother"는 그녀와 그녀의 남동생, 두 사람의 키를 비교하며 동일한 키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경우, "AS"를 "~만큼" 또는 "~한"으로 번역해주면 "그녀는 그녀의 남동생..
2024.09.15